카테고리 없음 2010. 11. 25. 10:56

스마트폰이 먹은 것들

한 때 컨버젼스(융합)와 디버젼스(특화) 상품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 '휴대기기'라는 영역에서는 컨버젼스의 압승이 아닐까 싶다. 집에다 핸드폰을 놓고 출근하면 모든 것을 잃은 듯한 불안감에 휩싸일 만큼 현대인은 핸드폰에 의존하고 있는데, 어차피 들고 다닐 핸드폰이라면 가능한 한 모든 기능을 여기에 넣어서 '추가로 들고 다닐 무언가'를 줄일수록 좋으니까.

생각난 김에 핸드폰, 특히 스마트폰이 지금까지 먹은 것들과 앞으로 먹을 것들을 정리해 봤다.

--멸종예상군--

PDA: 피쳐폰 시절부터 핸드폰에 스케쥴이나 메모기능이 강화되면서 채 성장하지도 못했던 시장이 시들시들하더니, 스마트폰 시대에 와서는 각 산업에 맞는 전문화한 앱도 지원하므로 존재 가치가 아예 사라졌다. 게다가 스마트폰은 PDA에는 없는 통신 기능도 있다! 도무지 회생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멸종할 상품.

전자사전: 한때 대학생의 필수품이었으나 피쳐폰에 사전이 들어가면서부터 위기감이 느껴지더니, 역시나 스마트폰 시대에 살아남기는 어려운 상품이 되었다. 아이폰에만도 징글징글하게 많은 종류의 사전이 전 세계 각지에서 판매되고, 그냥 포털이나 검색엔진에 접속해서 검색해 보는 식으로 사용해도 사전을 대체할 수 있을 정도. 이것도 멸종 예상.

네비게이션: 아직 사용비율이 그렇게 높지는 않지만, 장기적으로는 네비게이션도 스마트폰에 먹히리라 예상. 스마트폰은 GPS기능은 물론이고, 다양한 통신 환경을 지원하므로 업데이트가 편리하다는 등 강점이 많다. 문제는 화면이 조금 작다는 정도.

PMP: 핸드폰에서 고화질 MKV도 재생하고 smi나 srt등 자막도 지원하는 시대인 데다가 몇몇 기기는 DMB까지 지원하니 살아남기 어렵다. 단, e북 기기와의 컨버젼스를 통해 살아남을 수 있는데 이는 e북 파트에서 설명.

--특화예상군--

MP3P: 이건 스마트폰은 물론이고 피쳐폰도 대부분 지원하는 기능이지만, 디버젼스로 살아남을 수 있을 상품군이다. 2가지가 가능한데, 첫 번째는 AV기기로서의 성능적 우수성을 지향하는 것. 요즘 대다수 리스너는 컴퓨터 스피커로 흘러나오는 MP3 파일을 듣지만, 매니아는 조금이라도 좋은 앰프와 스피커, 심지어 케이블 하나하나 따져가며 구매한다. 그런 층을 노린 고성능 MP3P는 살아남을 수 있다. 두 번째는 휴대성을 지향하는 것. MP3P의 중요한 사용 패턴 중 하나는 '운동하며 듣기'인데, 핸드폰은 절대로 줄어들 수 없는 크기와 무게의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에 부적합. 무조건 최대한 작고 가볍게 만들면 살아남을 것이다(아이팟 셔플이 좋은 예).

디카: 옛날 디카는 컴팩트 디카와 DSLR로 양분되었었는데, 이 중 컴팩트 디카 시장은 스마트폰이 흡수할 것이지만 DSLR 시장은 계속 유지될 것. 렌즈의 크기에서 나오는 물리적 성능이란 게 있으니 이건 핸드폰이 절대로 커버할 수 없다. 게다가 누가 폰카 더 전문적으로 찍겠다고 렌즈 여러 개 들고 다니며 갈아 끼울까? DSLR은 살아남는다. 캠코더 시장도 비슷하다. 아이폰4로 동영상 찍어보라. 저성능 휴대용 캠코더는 종말이다.

휴대용게임기기: PSP나 NDS같은 걸 의미하는데, 스마트폰의 성능이 발달할수록 휴대용 게임기기의 대체재가 되어가는 추세. 그러나 닌텐도 3DS처럼 핸드폰에서 주기 어려운 경험(입체 안경 필요없는 3D 입체 영상)을 지향한다면 생존할 수 있다.

--자력갱생예상군--

e북: e북 기기는 핸드폰이 아무리 발달해도 이와 무관하게 성장할 것이다. 간단한 이유인데 '화면크기'에서 주는 만족감이란 게 존재하는 이상 이는 핸드폰이 대체할 수 없는 매력. 일반적인 책 크기 정도의 화면을 제공하는 기기라면 충분한 존재가치가 있다(바꿔말하면 페이퍼백 책보다도 화면이 작은 모 기기는 한숨만 나오는 졸작). 또한, 영상은 책처럼 큰 화면이 주는 매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PMP 기기로서의 존재가치도 충분하다. 아이패드 정도의 크기에, 아이폰4의 레티나 디스플레이처럼 인쇄물 화질 이상을 보여주고 조금은 더 가벼운 기기가 나올 시점에 e북 시장의 '끝판왕'이 등장하리라 예상.
카테고리 없음 2010. 11. 22. 10:36

요즘 트윗

http://kmug.co.kr/board/zboard.php?id=news&no=9332
안드로이드 전망을 밝게 보는 사람을 보면 답답하다. 애플 앱스토어에서 가장 잘 팔리는 앱인 앵그리버드도 건당과금 포기하고 광고붙여 무료로 팔고 있는 시장인게 진실. 개방성은 그럴싸해 보일 뿐 치명적 요소.

1위랑 4위 승점차가 3점 밖에 안되다니 올 시즌 EPL 느무 흥미진진하다! 맨시티 우승해버려! 그 와중에 빛나는 무패 맨유......1.5군 이라고 해야할 현재 맨유로 이런 결과를..

SSM이 지역경제 파괴한다고 트윗하는 것보다 중요한 건 대형마트에서 구매하지 않는 것이고, 삼성의 3대 승계를 북한에 빗대 조롱하는 것보다 중요한 건 삼성제품 불매하는 것.
소비자의 구매력도 하나로 뭉치면 권력이 된다. 가격대 성능비 운운하며 눈 앞의 이익만으로 결정한 소비는 소비자에게 장기적 피해가 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도 정치적 올바름을 '실천'해야만 세상이 바뀐다.
삼성 제품을 사면서 '왜 나는 야근수당도 안 주는데 야근을 해야만 할까?' 힘들어하는 건 멍청한 짓이다. 헌법에도 지정된 노동자의 당연한 권리인 노조결성권을 막는 기업이 잘 나가면 당신이 가진 '노동자로서의 권리'를 누가 챙겨주겠는가.

미국처럼 땅이 넓어 우선 큰길이 있고 길가에 집이 들어서는 구조가 아닌, 아파트나 주택이나 '단지'로 오밀조밀 뭉쳐있고 그 사이사이 샛길이 중요한 우리나라는 도로기반의 새 주소보다 구역 기반의 옛 주소가 낫지 않나?

내 인생에 게임이란 절충안이 있는게 좋은건지 나쁜건지 모르겠다. 애착을 가지고 '작품활동'한다는 기분도 느끼며 밥벌이도 되는 게임. 이게 없었다면 돈만 바라고 좀 더 많은 벌이가 되는 직종에 종사하며 그 돈으로 앨범제작비같은 걸 충당할 수 있었을까?
내가 좋아하고, 만들고 싶어하는 것 순위는 음악=만화>영화>게임>소설 정도인 것 같다. 내가 잘하는 것 순위는 어떨려나.. 제대로 검증받은건 아직 게임밖에 없으니, 일단 이번 음반 잘 만들어보자.

"tomorrow is just another day. that you'll never forget" 라는 애플의 예고에 전세계 애플빠들은 신기종 발표라도 있나 두근거렸는데, 법적 분쟁이 끝나 아이튠즈에서도 비틀즈 음원을 서비스한다- 임이 밝혀졌다.
거기에 맞춰 애플 공식 싸이트 메인 페이지도 비틀즈로 도배. 한 뮤지션의 음원서비스를 글로벌 기업의 충격적인 날로 인식하는 문화적 세련됨이 부럽고, 멋있다.

이마트 피자를 구매하는 치킨집 사장은 이마트 치킨이 생기고서야 후회하겠지.. 자영업자 비율이 비정상적으로 높고, 대다수 직장인이 은퇴이후 자영업을 상상하는 나라에서 자영업자를 죽이는 대기업의 행보를 '내 일'로 여기지 않음은 끔찍한 상황.

진보신당은 우경화되었고 진중권은 신자유주의자고 심상정은 민주당에나 어울릴 사람. 김규항은 늘 배울점이 있는 사람이지만 요즘 그가 견인하려는 진보신당의 방향성은 한숨만 나온다. 진중권이 말한대로 딱 집권을 바라는 정당이 아닌 사회주의동호회.
최규석 인터뷰 중에 인권영화제 갔더니 영화는 참 좋은데 그런것 안봐도 될 사람들만 모여서 보더란 얘기가 있었는데 몇몇 진보학자들이 그런 느낌. 끼리끼리만 어울리다 보니 세상을 바라보는 프레임 자체가 왜곡된 것. 진보 온실 속 화초라고 해야하나..

상대를 인정할 수 없어 색깔론과 인신공격을 서슴치 않는 보수세력과, 원하는 만큼의 개혁을 하지 않는다며 등을 돌리는 진보세력 사이에서 자기 세력을 잃고 무기력해진 오바마를 보며 노무현을 떠올린다.
진보세력의 비판으로 떨어져 나간 표가 더 왼쪽에 있는 세력에 가기는 커녕 공화당(한나라당)으로 간 상황조차 똑같다. 극좌가 극우를 돕는 아이러니. 요즘 자꾸 진보세력의 래디컬한 노선보다 한물 간 비판적지지론에 마음이 간다.
래디컬은 이론의 영역에서 방향을 설정해 줄 뿐, 언제나 조금이라도 현실을 바꾸는건 (래디컬한 세력의 비판을 한몸에 받는) 비판적지지세력이 아니었나 싶다. 한사람의 백걸음보다 백사람의 한걸음이란 표현과도 통한다.
다음 미국 대선에서 '미국판MB'가 집권하는 일 만큼은 벌어지지 않았으면 좋겠다. 지금 우리가 겪는 이 촌극을 전세계가 겪는 모습을 상상하면 소름이 끼친다.

미국 티파티운동을 찾다보니 뉴라이트랑 겹치는 느낌. 노무현이나 오바마 정도의 개혁만으로도 보수세력은 위기감을 느끼고 잘 결집하거나 좀 더 래디컬해 지거나. 정말 이러다 미국판 MB나오지 않을까 어쩜 이렇게 비슷할까. 그럼 고졸스펙은 한국의 유색인종?









근데 이 블로그 구독하는 사람이 있기나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