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0. 9. 29. 10:37

아이폰5 루머를 보며...

뜬금없이 ‘아이폰5’가 검색어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마디로 근거 없는 소리다.
역대 아이폰 발표시기를 보자.
2007년 아이폰
2008년 아이폰3G
2009년 아이폰3GS
2010년 아이폰4
애플의 전략은 너무나도 명확하다. 매년 새 모델 하나씩 등장시키기.
이게 어렵냐??? 이게 어렵냐고?? 응??
내가 노스트라다무스가 되어 줄게. 아이폰 후속작은 아이폰5보다는 아이폰4S일 가능성이 크고, 내년 6월 WWDC를 통해 발표될 거다.

이 어이없는 해프닝을 통해서도 생각해 볼 요소가 있는데,

아이폰5 기사들을 보면 iLounge라는 외국 블로그를 뉴스 소스로 명시하던데, 이 포스팅 인가보다. 그런데 신형 아이폰 부분엔 "we have to say that we find this part hard to believe"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이걸 언급한 기사는 없다. 신빙성이 없다고 명시한 '블로그'의 기사를 사실인 양 인용하는 '언론'의 행태를 어떻게 볼 것인가. 

보고 싶은 부분만 보고 퍼오는 '발췌독'은 대놓고 의도를 깔고 하는 행동이니 일단 넘어가자.
그 이전에 중요한 건 블로그는 개인이 어떤 루머도 책임감 없이 떠들 수 있는 공간이라는 점이다.
블로그 포스팅을 인용할 땐 스스로 검증하는 절차라도 거치는 것이 언론으로서의 최소한의 책임감이라는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또 생각할 만한 요소는 이런 루머의 발생과 확산 모두 애플 앱스토어에 대한 몰이해를 깔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거대한 흐름은 분석 좀 하고 살자. 애플 앱스토어가 위대한 건 통일성과 시장확장 때문이다.

피쳐폰 시절 모바일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가장 힘든 점 중 하나는 핸드폰 마다 스펙이 제각각이라 다양한 폰에서 돌아가도록 범용으로 제작하기 위한 공력이 굉장히 많이 들어간다는 점이다. 옛날 모바일 시장에서는 유저가 프로그램을 하나 받을 때 내 폰에서도 돌아가는 프로그램인가를 확인하는 절차가 꼭 필요했고, 개발사는 이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폰이 무엇무엇이 있나 확인하는 절차가 꼭 필요했다. 핸드폰만 종류별로 수십 대 갖다놓고 테스트하곤 했다는 말이다.

아이폰은 다르다. 애플 앱스토어는 아이폰이라는 단일 기기 시장이다. 아이폰에 최적화시키면 될 뿐, 호환성에 대한 고민은 없어도 된다. 이런 방식으로 개발에 대한 부담을 줄였기 때문에 앱스토어에 개인개발자 전성시대가 온 것이다.
-바꿔 말하면 단일 기기가 아닌 단일 OS일 뿐, 스펙 통일이 잘 안 되는 안드로이드 앱스토어는 전망이 어둡다.
게다가 애플은 시장을 계속 확장시킨다. 아이폰용 프로그램을 하나 개발했을 뿐인데, 이게 아이팟터치에서도 돌아가고 아이패드에서도 돌아간다. 기존 시장(핸드폰 시장)을 분할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시장(MP3플레이어 시장+e북 시장)까지 하나의 시장으로 끌어들여 판매처를 늘린 것이다.

즉, 개발에 대한 부담은 줄이고 시장을 키워 수익은 늘려준다. 이게 애플 앱스토어의 위대한 점이다.

올해 나온 아이폰4에서도 이러한 배려가 보인다. 시대가 흐를수록 핸드폰 스펙은 좋아지게 마련이고, 좋아진 스펙에 최적화시킨 앱은 기존 스펙에서 돌아가기 힘들다. 시장이 분할되며 수익성이 나빠진다는 말이다. 이건 어쩔 수 없는 흐름이되 이것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배려가 있고 없고 차이는 크다. 아이폰4의 레티나 디스플레이는 960*640 해상도를 지원하는데, 이는 아이폰3g의 480*320을 그대로 4배 뻥튀기한 것이다. 그냥 크기를 키운 것이 아니라 기존 비율을 유지(기술적인 문제라 살짝 복잡한데 내부적으로는 아이폰3는 1point=1pixel, 아이폰4는 1point=4pixel이라는 구조)하는 방식으로 아이폰3용 앱이 아이폰4에서 완벽하게 돌아가도록 구현해 놨다.

이런 애플의 전략을 바탕으로 생각해보면, 애플이 스펙이 많이 바뀌는 후속모델(아이폰4S도 아닌 아이폰5말이다!)을 발표하는 건 '아주 천천히 매우 신중하게'할 일이라는 말이다. 신제품 내놓은 지 몇 달 만에 후속모델 기사가 나올 만큼 성급하게 진행되는 일일 수 없단 말이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일이 떠들썩하게 커지는 모습을 보면, 어떤 나라의 어떤 회사에서는 한국에서만 성공한 기형적인 모델을 살리기 위해 똥줄이 타들어가 별짓 다 하는구나 싶다.
카테고리 없음 2010. 9. 26. 14:44

돌아온 미드의 계절

Luke:When was this from?
Mom:that's the year your dad and i went to the rose bowl.
Luke:Mom, you look really pretty.
Mom:Thank you sweetheart.
Luke:So, what happened?
Dad:Well, Lukey, everyone gets older, and just cause parts of your mom aren't what they used to be, it doesn't me—
Luke:I mean, what happened in the game?

모던 패밀리 최고!
카테고리 없음 2010. 9. 2. 15:51

트위터가 세상을 바꿀랑 말랑

http://ozzyz.egloos.com/4457808

고재열, 허지웅의 논쟁을 봤다.
(이게 그들의 한계인지 트위터의 한계인지 모르겠지만)두 분 다 온라인에선 꽤 유명한데도 감정을 긁는 표현 투성이에, 수사에 치중하느라 논리가 엇나가는 진행 등 보기 불편한 논쟁이지만, 생각할 만한 화두를 던진 것 같다.



그에 대한 김규항의 의견까지 읽은 후 떠오른 생각을 정리해 봤다.


인프라는 컨텐츠에 영향을 끼친다.
한국의 빠른 인터넷 회선 덕에 패키지 게임을 만들던 회사가 죄다 온라인 개발사로 돌변했듯이.
그런 면에서 TV도 인터넷도 트위터도 세상에 영향을 준다.
TV의 등장으로 정치의 쇼적 측면이 강화되며 정치인에게 필요한 덕목이 변화한 역사도 있지 않은가.

하지만, '트위터가 세상을 바꾼다.'라는 식의 거창한 표현에 맞는 혁명적인 변화가 있을까.
블로그가 유행하자 많은 사람이 개인 미디어의 시대가 온다고 떠들었지만,
정작 사람들이 의존하는 정보는 기존 매스미디어에서 생산해 포탈싸이트에 공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인터넷 시대에도, 블로그 시대에도 사람들의 전망과는 달리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은 약화되지 않았다.

또 다른 사례로, 참여정부의 탄생 과정도 기술발전과 세상에 일어난 변화에 대해 생각하기에 좋은 자료 같다.
인터넷 없이도 노무현이 대통령이 되었을 거라 상상하긴 힘들다.
노무현에 대한 호감이 있었어도 대부분 차기나 차차기 정도로 생각했지 당장 무언가 이룰 만큼 지지세를 모을 것이라 전망한 사람은 거의 없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 지지자들이 모이다 보니 어라? 의외로 많네? 해낼 수도 있겠다!...란 낙관을 확산하고 그게 강력한 힘이 되었다.

이런 얘기를 꺼내면 김규항은 '이회창이 아니라 노무현이 됐다고 세상이 바뀐 거냐?'라고 반문할 테지만,
참여정부가 '진보주의자 입장에서 만족스러운 정부'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곧 '이명박과 다를 바 없는 정부'라고 하기엔 억울한 측면이 있다고 본다. 어느 정도 거리가 있어야 정말 다른 것이냐는 건 말 그대로 '정도'의 문제인 것 같다.

이를 '미세하게라도 다른 정부'였다고 타협해보자. 그러면 어쨌든 그 1mm라도 세상은 바뀐 것이다.
그럼 인터넷이 세상을 바꾼 걸까? 이에 대한 반론으로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만든 것은 인터넷이 아니라 유권자의 힘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유권자의 힘을 발현할 도구로서의 인터넷이 없었으면 그렇게 파괴력을 발휘하지는 못했을 것이다. 먼저 '새로운 정치인'을 바란 유권자의 열망이 있었고->그것을 하나의 큰 힘으로 만드는 데 인터넷이 기여를 한 것이다.

결국 도구가 세상을 바꾸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1. 도구 자체가 세상을 바꿀 수는 없지만, 사람들의 강한 욕망에 시너지 효과를 주는 정도의 기여는 할 수 있다.
2. 이런 역할을 하기 위한 도구는 '인프라'라는 표현이 어색하지 않은 수준으로 보편적 성공을 거둬야 한다.
3. 이 과정을 거쳐 변화한 세상은 항상 낙관적인 전망에는 못 미치는 미미하게 변화한 세상이다.

결국, 지금 트위터가 세상을 바꿀 거라며 들뜬 사람들은 자신의 기대에 못 미치는 변화에 좌절할 것이다.
아마도 그 기대와 현실의 차이는 진보주의자가 참여정부에 실망했던 것과 비슷한 수준일 것이다.


...사실 트위터는 2번 공식조차 통과 못 할 가능성이 더 커 보인다. 싸이월드처럼 잠깐 유행하고 사라질 인터넷 놀거리에 불과하지 않을까.